- 산지유통업체 확보 애로 해소·쌀 수급 안정…15일까지 희망 물량 제출
농림축산식품부가 햅쌀(중만생종)의 본격 출하가 시작되는 10월 중순까지 지역별 원료곡 부족이 예상됨에 따라 쌀 수급 안정을 위해 정부양곡 2만 5천 톤을 추가로 공급한다고 12일 밝혔다.
이번에 공급되는 정부양곡은 벼로 재판매하는 것이 제한되며, 햅쌀 출하가 본격적으로 시작되는 10월 17일까지 쌀로 판매해야 한다. 농식품부는 판매 완료 여부를 철저히 감독하고 신·구곡 혼합 유통에 대한 단속도 지속할 계획이다.
앞서 8월 25일부터 공급된 정부양곡 3만 톤은 9월 5일까지 2주 만에 절반 이상이 판매되었으며, 잔여 물량도 2주 내외로 소진될 것으로 추정된다. 올해는 조생종 수확 시기에 잦은 비로 출하가 늦어지면서 구곡에 대한 산지유통업체의 수요가 증가한 것으로 파악됐다.
농식품부는 이번 2만 5천 톤의 추가 공급을 통해 산지유통업체의 원료곡(벼) 확보 문제를 해소하고 쌀 수급 안정을 도모한다는 방침이다.
공급 대상은 2024년 정부 벼 매입자금 지원 대상인 산지유통업체와 연간 매입물량이 3천 톤 이상인 임도정업체다. 희망 업체는 농협경제지주 웹사이트 공지에 따라 15일까지 물량을 제출해야 한다. 농식품부는 업체별 전년도 쌀 판매량 비중을 고려해 물량을 배정하고, 배정된 업체는 19일부터 지정된 정부양곡 보관창고에서 물량을 인수할 수 있다.
이번에 추가로 정부양곡을 공급받은 업체는 2025년산 신곡을 내년 3월까지 정부 창고로 반납해야 한다. 반납 물량은 올해 8월 평균 산지 쌀값, 2025년산 수확기 쌀값, 도정수율 등을 감안해 추후 결정될 예정이다.
김종구 농식품부 식량정책실장은 "산지유통업체의 원료곡 확보 어려움을 완화하고 쌀 수급 안정을 위해 정부의 적극적인 역할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이번 정부양곡 추가 공급이 업체의 어려움을 완화하고 2025년 수확기 쌀값과 농업인 소득 안정에 기여할 것으로 예상한다"며, 농업인과 소비자 모두에게 도움이 되도록 쌀값을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농식품부는 정부양곡 추가 대여를 발표한 12일, 김종구 실장 주재로 농협 RPC 협의회 및 관계 RPC 협의회장들과 함께 대여 계획을 공유하고 쌀 수급 안정을 위한 산지유통업체의 적극적인 역할을 당부했다.
<저작권자 ⓒ NEW연합국민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차예원 기자 다른기사보기